맨위로가기

코르디예라 행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디예라 행정구는 필리핀 루손섬 북부에 위치한 내륙 지역으로, 6개의 주와 2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어로 "산맥"을 의미하는 "코르디예라"라는 이름처럼, 이 지역은 코르디예라 센트랄 산맥을 포함한 산악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기독교화와 정복이 어려웠으며, 미국 식민 시대와 필리핀 독립 이후에도 자치와 관련된 다양한 사건들이 있었다. 이 지역은 다양한 민족 집단,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로마 가톨릭교가 주된 종교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바나우에 쌀 계단, 풀라그 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아브라주
    아브라는 필리핀 루손 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서부에 위치한 주로, 험준한 산맥과 아브라 강, 아브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로카노족과 팅기안족의 후손이 주로 거주하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칼링가주
    칼링가주는 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에 위치한 주로, 이바나그어와 가당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치코 강 댐 건설 계획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필리핀의 지방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필리핀의 지방 - 다바오 지방
    다바오 지방은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하며, 5개의 주와 다바오시로 구성되어 있고, 농업, 무역, 관광의 중심지이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코르디예라 행정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코르딜레라 행정구 문장
코르딜레라 행정구 문장
공식 명칭코르딜레라 행정구
다른 이름CAR
위치필리핀
지역 중심바기오 (가장 큰 도시)
별칭해당 없음
표어해당 없음
행정 구역
아브라
아파야오
벵게트
이푸가오
칼링가
마운틴
독립시바기오
구성시타부크
지방 자치체75개
바랑가이1,178개
하원 의원 구역7개
지리
총 면적km²
가장 높은 지점풀라그 산
최대 해발고도9,606 피트
인구 통계
인구 (2020년 추정치)1,807,758명
인구 (2015년)
인구 밀도auto 명/km²
언어일로카노어
이발로이어
캉카나이어
칼랑구야어
칼링가어
이푸가오어
이트네그어
이스네그어
팡가시난어
필리핀어
필리핀 영어
기타
경제
GDP (2023년)4105억 6천만
$73억 8천만
성장률(6.9%)
HDI0.777 (높음)
HDI 순위필리핀 3위 (2024)
기타 정보
시간대PST
UTC 오프셋+8
ISO 3166-2PH-15

2. 명칭

스페인어 "Cordillera]]"는 "산맥", "산악 지대"를 의미한다. 현대 스페인어식 "코르디제라"라는 일본어 표기도 보이지만, 필리핀에서는 제이스모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주로 "코르디예라"로 발음된다.

3. 역사

벤게트, 이푸가오, 칼링가, 아파야오의 현재 지역을 포함하는 '마운틴' 주를 보여주는 오래된 미국 육군 지도


스페인령 필리핀 시대 동안, 산악 지역의 기독교화와 최종적인 정복은 스페인 식민 정부에게 어려운 과제였다.[4] 스페인 식민 정부는 산악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에 여러 개의 ''코만단시아''(지방 군정)를 설치했다.[5] 여기에는 암부라얀, 카부가오안, 누에바 비스카야의 카야파, 이푸가오의 키안간, 이타베스, 아파야오, 레판토, 벵게트, 마운틴 프로빈스의 본톡, 이푸가오의 바나우에, 그리고 티아간이 있었다.[6][7]

3. 1.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령 필리핀 시대 동안, 산악 지역의 기독교화와 최종적인 정복은 스페인 식민 정부에게 어려운 과제였다.[4] 스페인 식민 정부는 산악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에 여러 개의 ''코만단시아''(지방 군정)를 설치했다.[5] 여기에는 암부라얀, 카부가오안, 누에바 비스카야의 카야파, 이푸가오의 키안간, 이타베스, 아파야오, 레판토, 벵게트, 마운틴 프로빈스의 본톡, 이푸가오의 바나우에, 그리고 티아간이 있었다.[6][7]

3. 2. 미국 식민 시대

3. 3. 필리핀 독립 이후

1966년 6월 18일, ''공화국법 제4695호''가 제정되어 마운틴 주가 벵게트, 이푸가오, 칼링가-아파야오, 마운틴 주의 4개 독립적인 주로 분할되었다.[13][14] 이푸가오와 칼링가-아파야오는 카가얀밸리 지역, 벵게트와 마운틴 주는 일로코스 지역 관할로 편입되었으며, 이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일로카노 정착민의 해당 주 이주 정책을 시행했다.

케손 시티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의 벽에는 Macli-ing Dulag를 포함한 반타요그 명예 헌정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이후, 사단가, 마운틴 주와 틴갈라얀, 칼링가 인근의 치코 강 댐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지역 반대로 인해 군사화가 진행되었다.[16][17][18] 1975년 12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대통령령 848호를 발표하여 루부아간, 틴갈라얀, 타누단, 파실 시를 "칼링가 특별 개발 지역"(KSDR)으로 구성했다.[19]

계엄령으로 무영장 체포 권한을 부여받은 제60 PC 여단은 1977년 4월까지 최소 150명의 지역 주민을 체포하여 전복, 정부 프로젝트 방해, 1976년 10월 헌법 국민투표 보이콧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 체포된 이들 중에는 부족 지도자와 장로, 젊은 부부, 심지어 12세 아동도 포함되었다.[18] 1978년 12월, 치코 IV 지역 일부는 군이 허가 없이 사람과 동물을 사격할 수 있는 "자유 사격 구역"으로 선포되었다.[18]

1980년 4월 24일, 마르코스 군대는 칼링가 붓붓 부족의 지도자 Macli-ing Dulag를 암살했다.[20] 이 사건은 필리핀 주류 언론이 마르코스와 군대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게 된 최초의 사건으로, 코르디예라 자치로 이어진 이고로트 정체성을 형성하는 분수령이 되었다.[21]

1986년 민중 권력 혁명으로 마르코스 행정부가 종식된 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정부는 콘라도 발웨그가 이끄는 코르디예라 인민 해방군과 휴전을 맺고, 1986년 9월 13일 마운트 데이터 평화 협정으로 알려진 ''시파트'' 조약을 체결하여 적대 행위를 종식시켰다.

1987년 7월 15일,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행정 명령 220''을 발표하여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을 창설했다. 아브라 주, 벵게트 주, 마운틴 주(일로코스 지방), 이푸가오 주, 칼링가아파야오 주(카가얀 밸리)가 새 지역에 병합되었다.[22][23] 1995년 2월 14일, 칼링가아파야오 주는 ''공화국 법률 제7878호''에 따라 아파야오 주와 칼링가 주로 분리되었다.[24][25]

코르디예라 지역 자치를 위한 두 차례의 국민투표가 실패했다.[26][28] 1987년 필리핀 헌법에 따라 지역 자치 법안에 대한 긍정적 투표가 필요했으나, ''공화국 법률 제6766호''(1989년 10월 23일 발효)[27]는 1990년 1월 30일 국민투표에서, ''공화국 법률 제8438호''(1997년 12월 22일 통과)[29]는 1998년 3월 7일 국민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에 실패했다.[26][28]

2000년 9월, 베게트 이고톤 시의회는 산 로케 댐 프로젝트 지원을 철회했다. 환경 문제와 이고로트족 생활 환경 위협에 대한 반대가 있었으나, 2001년 5월 아로요 대통령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2000년 12월, 필리핀 대법원은 원주민 권리법(IPRA)의 헌법적 적법성에 대한 청원을 기각했다. IPRA는 토지 소유권을 공동체적으로 간주하여 이고로트족의 관점과 일치했으며, 1995년 광산법과는 달리 외국 광산 회사 설립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력을 코르디예라 원주민들에게 부여했다.

2014년 자치 코르디예라 창설 법안이 의회에 제출되었으나 중앙 정부 지원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2017년, CAR 내 모든 지방 국회의원들이 자치 코르디예라 창설 법안을 공동 제출했으나, 누에바 비스카야 이고로트족 소외 문제가 제기되었다.[30][31]

4. 지리



이 지역은 필리핀에서 유일하게 내륙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동쪽과 동쪽으로는 카가얀 계곡, 남서쪽과 서쪽으로는 일로코스 지방과 접해 있다.

이 지역은 주로 산악 지형으로, 루손에서 가장 높은 산인 푸락 산을 포함하는 루손섬의 코르디예라 센트랄 산맥에 위치해 있다.[32]

이 지역 내에는 카가얀 강의 지류인 치코 강을 포함한 여러 하천과 강이 있다. 다른 주요 강으로는 다음이 있다.[33][34]


  • 아브라
  • 아불로그
  • 아그노
  • 아힌
  • 암부라얀
  • 아파야오
  • 부에드
  • 시푸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내에는 필리핀 최고봉인 푸로그 산(Mt. Pulog, 2,929m)을 포함한 2,000m급 산들이 연이어 있다.

4. 1. 행정 구역

코르디예라 행정구는 6개의 와 2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1,178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도시주도인구
(2007년 기준)
면적
(km2)
인구 밀도
(명/km2)
아브라주방게드230,9533,975.658.1
아파야오주카부가오103,6333,927.926.4
벵게트주라트리니다드372,5332,599.4143.3
이푸가오주라가웨180,7112,517.871.8
칼링가주타부크182,3263,119.758.4
마운틴주본토크148,6612,097.370.9
style="background: gray" |style="background: gray" |style="background: gray" |style="background: gray" |style="background: gray" |
바기오301,92657.55,250.9



2012년 11월 바기오 시의 모습


바기오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이며, 벵게트 주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된다.[35]

코르디예라 행정구를 구성하는 주는 다음과 같다.

  • 아브라 주
  • 아파야오 주
  • 벵게트 주
  • * 바기오
  • 이푸가오 주
  • 칼링가 주
  • 마운틴 주

5. 인구

코르디예라 행정구 인구 조사[38]
연도인구±% p.a.
19901,112,201
19951,254,838+2.22%
20001,365,220+1.71%
20071,520,743+1.46%
20101,616,867+2.26%
20151,722,006+1.22%
20201,797,660+0.85%
출처: 필리핀 통계청[38]



== 민족 ==

코르디예라는 코르디예라 산맥에 거주하는 많은 민족 집단의 고향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고로트족이라고 불린다.[39]

팅글라얀 출신의 남자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처음 제작된 수제 무기를 들고 전통 의상을 입고 있다. 전통적인 칼링가 천은 러시아 ''나보즈니크''처럼 필리핀 정교회 성상에 걸쳐져 있다.


머리에 뱀 뼈를 꽂은 본톡 여성. 뼈는 번개로부터 보호하는 부적 역할을 한다.


팅기안족은 아다센, 발라토크, 바나우, 벨왕, 비눈간, 구방, 인라우드, 마바카, 마엥, 마사디이트, 무야단 또는 아뮤탄으로 알려진 하위 그룹인 이트네그 부족으로 구성된다.[39] 아브라 지역의 이트네그족은 다음과 같다.

  • 아다센 – 라가얀, 라강길랑, 산후안 및 티네그
  • 바나우 – 다구이오만, 말리브콩, 칼링가주 발발란에도 존재
  • 비눈간 – 바아이-리쿠안 및 라쿠브
  • 발라토크 – 볼리니의 암티, 킬롱-올라, 다나크 마을에 거주
  • 벨왕 – 볼리니의 다오-안간 마을에 거주
  • 구방 – 말리브콩
  • 인라우드 – 라강길랑 및 페냐루비아, 비야비시오사의 루마바 마을, 부카이의 아방 및 파톡 마을, 랑기덴, 산이시드로, 산킨틴, 당글라스 (일부 누에바에라 지역에도 존재)
  • 마바카 – 라쿠브 및 말리브콩
  • 마엥 – 루바, 투보 및 비야비시오사, (산에밀리오, 바나요요 및 일로코스수르의 다른 마을에도 존재)
  • 마사디이트 – 살라파단, 부클록 및 마나보의 사프다안 마을, 그리고 볼리니의 바랑가이 포블라시온, 바위얀, 두마가스에 거주
  • 아뮤탄 일명 무야단 부족 – 마나보


이스네그 부족은 "임마디야"와 "이마로"로 알려진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 ''이스네그''는 사람을, ''이스네그''는 방언을 지칭한다. 이스네그족은 아파야오뿐만 아니라 일로코스노르테 동부, 카가얀 북서부, 그리고 아브라 주 티네그에서도 발견된다. 아파야오 내 그들의 거주지는 다음과 같다.

  • 임마디야 (이스네그) – 칼라나산 (''바야그'')
  • 이마로 (이스네그) – 카부가오, 코너, 푸톨, 그리고 루나 (''마카텔'')의 일부 지역
  • 말라웨그 – 코너
  • 이타위스 – 코너


그 외에, 이발로이족, 캉카나에이족, 칼랑구야족[40], 카라오 부족, 이푸가오, 투왈리, 아얀간, 칼란구야, 이파나웨르(바나우에), 칼링가, 투복, 바나오, 타누단, 타누단, 통그라얀, 이푸트푸트, 이테르카우, 이파사오, 이차나나우, 이통그라얀, 이수마체르, 일루부아겐, 이피눅푸크, 캉카나에, 바그바고, 이폰톡, 일로카노, 본톡(본톡), 발랑아오(나토닌), 발리원(파라셀리스), 아플라이(바우코, 베사오, 사바간, 사가다) 등이 있다.

== 언어 ==

이 지역은 "필리핀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언어적 지역"으로 불려왔으며,[32] 주요 언어의 다양한 "하위 방언 변이"가 존재한다.[32] 이러한 다양성은 이 지역의 산악 지형에서 기인한다.[32] 그러나 이것이 "문화 발전"의 차이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사한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한다.[32] 이 지역은 일로카노 이주민 정책이 시행된 이후, 다양한 이고로트 그룹 간의 공용어일로카노어를 사용해 왔다. 필리피노어영어는 필리핀의 공식 언어로서 코르디예라에서도 사용된다.

코르디예라 행정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사용 지역
발랑가오어마운틴 주 나토닌과 파라셀리스
본톡어마운틴 주 본톡
가당어마운틴 주 파라셀리스
이발로이어벵게트
이푸가오어이푸가오
일로카노어아파야오, 아브라, 칼링가, 마운틴 주, 벵게트, 이푸가오 (지역 공용어)
이스나그어아파야오
이타위스어아파야오 일부 지역
이테네그어아브라
칼링가어칼링가, 아파야오 남부 지역, 마운틴 주 북부 지역
칼라한어벵게트 일부 지역
캉카나이어마운틴 주 서부와 벵게트 일부 지역



== 종교 ==

다른 필리핀 지역과 마찬가지로, 로마 가톨릭교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종교이며, 인구의 60~70%가 이 종교를 따른다.[41][42] 성공회 및 복음주의 교회를 포함한 개신교는 약 20~30%를 차지하며 상당한 소수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41][42] 전통적인 토착 신앙은 이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족들에 의해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각 마을에 약 4~6%의 규모로 ''카필랴스''(예배당)와 같은 Iglesia Ni Cristo 신자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5. 1. 민족

코르디예라는 코르디예라 산맥에 거주하는 많은 민족 집단의 고향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고로트족이라고 불린다.[39]

팅기안족은 아다센, 발라토크, 바나우, 벨왕, 비눈간, 구방, 인라우드, 마바카, 마엥, 마사디이트, 무야단 또는 아뮤탄으로 알려진 하위 그룹인 이트네그 부족으로 구성된다.[39] 아브라 지역의 이트네그족은 다음과 같다.

  • 아다센 – 라가얀, 라강길랑, 산후안 및 티네그
  • 바나우 – 다구이오만, 말리브콩, 칼링가주 발발란에도 존재
  • 비눈간 – 바아이-리쿠안 및 라쿠브
  • 발라토크 – 볼리니의 암티, 킬롱-올라, 다나크 마을에 거주
  • 벨왕 – 볼리니의 다오-안간 마을에 거주
  • 구방 – 말리브콩
  • 인라우드 – 라강길랑 및 페냐루비아, 비야비시오사의 루마바 마을, 부카이의 아방 및 파톡 마을, 랑기덴, 산이시드로, 산킨틴, 당글라스 (일부 누에바에라 지역에도 존재)
  • 마바카 – 라쿠브 및 말리브콩
  • 마엥 – 루바, 투보 및 비야비시오사, (산에밀리오, 바나요요 및 일로코스수르의 다른 마을에도 존재)
  • 마사디이트 – 살라파단, 부클록 및 마나보의 사프다안 마을, 그리고 볼리니의 바랑가이 포블라시온, 바위얀, 두마가스에 거주
  • 아뮤탄 일명 무야단 부족 – 마나보


이스네그 부족은 "임마디야"와 "이마로"로 알려진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 ''이스네그''는 사람을, ''이스네그''는 방언을 지칭한다. 이스네그족은 아파야오뿐만 아니라 일로코스노르테 동부, 카가얀 북서부, 그리고 아브라 주 티네그에서도 발견된다. 아파야오 내 그들의 거주지는 다음과 같다.

  • 임마디야 (이스네그) – 칼라나산 (''바야그'')
  • 이마로 (이스네그) – 카부가오, 코너, 푸톨, 그리고 루나 (''마카텔'')의 일부 지역
  • 말라웨그 – 코너
  • 이타위스 – 코너


그 외에, 이발로이족, 캉카나에이족, 칼랑구야족[40], 카라오 부족, 이푸가오, 투왈리, 아얀간, 칼란구야, 이파나웨르(바나우에), 칼링가, 투복, 바나오, 타누단, 타누단, 통그라얀, 이푸트푸트, 이테르카우, 이파사오, 이차나나우, 이통그라얀, 이수마체르, 일루부아겐, 이피눅푸크, 캉카나에, 바그바고, 이폰톡, 일로카노, 본톡(본톡), 발랑아오(나토닌), 발리원(파라셀리스), 아플라이(바우코, 베사오, 사바간, 사가다) 등이 있다.

5. 2. 언어

이 지역은 "필리핀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언어적 지역"으로 불려왔으며,[32] 주요 언어의 다양한 "하위 방언 변이"가 존재한다.[32] 이러한 다양성은 이 지역의 산악 지형에서 기인한다.[32] 그러나 이것이 "문화 발전"의 차이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사한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한다.[32] 이 지역은 일로카노 이주민 정책이 시행된 이후, 다양한 이고로트 그룹 간의 공용어일로카노어를 사용해 왔다. 필리피노어영어는 필리핀의 공식 언어로서 코르디예라에서도 사용된다.

코르디예라 행정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사용 지역
발랑가오어마운틴 주 나토닌과 파라셀리스
본톡어마운틴 주 본톡
가당어마운틴 주 파라셀리스
이발로이어벵게트
이푸가오어이푸가오
일로카노어아파야오, 아브라, 칼링가, 마운틴 주, 벵게트, 이푸가오 (지역 공용어)
이스나그어아파야오
이타위스어아파야오 일부 지역
이테네그어아브라
칼링가어칼링가, 아파야오 남부 지역, 마운틴 주 북부 지역
칼라한어벵게트 일부 지역
캉카나이어마운틴 주 서부와 벵게트 일부 지역


5. 3. 종교

다른 필리핀 지역과 마찬가지로, 로마 가톨릭교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종교이며, 인구의 60~70%가 이 종교를 따른다.[41][42] 성공회 및 복음주의 교회를 포함한 개신교는 약 20~30%를 차지하며 상당한 소수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41][42] 전통적인 토착 신앙은 이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족들에 의해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각 마을에 약 4~6%의 규모로 ''카필랴스''(예배당)와 같은 Iglesia Ni Cristo 신자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6. 경제

코르디예라 행정구의 빈곤율은 필리핀 통계청에서 조사하여 발표한다.[55]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 2012년, 2015년, 2018년, 2021년 빈곤율 자료가 있다.[55][56][57][58][59][60][61][62]

7. 문화

코르디예라 지역은 강사 칼링가, 코피리, 피리, 벌집, ''방이방'', ''통가통'', ''디위디와스'', ''사게이포'', 대나무 시터 등 독특한 악기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또한 목각, 이발로이 바구니, 베틀 직조, 티날릭, 이캇이라고 불리는 샅바, 부적, 문신, 아코브, 보보, 수클랑 및 이캇 직조와 같은 춤, 예술 및 공예로도 유명하다.

성모 성심 수녀회에서 운영하는 본톡 박물관은 마운틴 주(Mountain Province)의 여러 부족이 사용하는 자료를 많이 소장하고 있다.


본톡족의 문신은 용감함(문신을 하는 동안의 고통 때문에), 악의 세력에 대한 부적 또는 행운의 부적, 또는 지위 또는 직책(예: 족장, 지도자, 시장)의 상징에 관한 것이다. 그들은 또한 피부에 패턴이나 추상적인 그림이나 잉크를 배치하여 예술을 사용하여 문신을 장식 및 옷으로 사용한다.

코르디예라 사람들은 감정과 믿음을 바탕으로 예술을 만든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들은 목각, 바구니 짜기, 옷 짜기, 부적 및 이캇 짜기와 같은 수입원으로 예술과 공예를 만드는 데 재능을 사용한다. 그들은 직조에 다양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불룰"이라고 불리는 그들만의 신이 있는데, 이 신은 이푸가오족이 만들고 숭배하는 쌀의 신이다. 본톡족은 문신 예술 외에도 저장 및 쌀 용도로 다양한 바구니를 만드는 데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관광

마알리공 쌀 계단 (본톡, 마운틴 주)


바나우에 쌀 계단은 필리핀 코르디예라 쌀 계단의 일부이며,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카사마타 언덕 국립공원, 카바얀 미라가 있다.

데이터 산, 발발라상-발발란 국립공원이 있다.

풀라그 산은 해발 2,922m로 루손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바기오의 명소로는 번햄 공원, 마인스뷰 공원, 더 맨션, 라이언 헤드, 캠프 존 헤이,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벨 교회, 라이트 공원, 바기오 가든, 센터몰 등이 있다.

9. 주요 인물

코르디예라 행정구 출신 주요 인물은 아브라주, 벵게트주, 바기오, 칼링가주, 마운틴프로빈스 등 여러 지역에서 찾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2] 웹사이트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4-04-26
[3] 웹사이트 It's official: Philippine population at 109 million https://www.rappler.[...] 2023-07-10
[4] 웹사이트 Mt. Province http://www.visitmyph[...] Department of Tourism 2013-12-23
[5] 서적 Taming Philippine Headhunters: A Study of Government and of Cultural Change in Northern Luzon https://catalog.hath[...]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4
[6] 웹사이트 Benguet History http://www.benguet.g[...] 2014-10-22
[7]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apayao.gov.ph[...] 2015-01-03
[8] 간행물 https://books.google[...] National Historical Institute 2015-01-02
[9] 서적 1908 :The Way it Really was: Historical Journal for the UP Centennial, 1908–200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15-01-02
[10] 서적 Seventh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to the Philippine Commission for the Fiscal Year Ended June 30, 1908 https://archive.or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5-01-02
[11]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Taken Under the Direction of the Philippine Legislature in the Year 1918, Volume 1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1920
[12] 웹사이트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History http://cordilleracon[...] 2014-10-22
[1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695: An Act Creating the Provinces of Benguet, Mountain Province, Ifugao and Kalinga-Apayao http://www.chanroble[...] 2014-09-18
[14] 웹사이트 Facts & Figures: Ifugao Province http://www.nscb.gov.[...]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2015-01-02
[15]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apayao.gov.ph[...] 2015-01-03
[16] 웹사이트 DULAG, Macli-ing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Bantayog Memorial Center 2017-09-23
[17] 서적 Macli-ing Dulag: Kalinga Chief, Defender of the Cordillera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18] 컨퍼런스 The Chico River Basin Development Project: A Case Study of National Development Policy http://116.50.242.17[...] 1980-04-22
[19]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848 ONSTITUTING CERTAIN MUNICIPALITIES WITHIN THE PROVINCE OF KALINGA-APAYAO INTO A SPECIAL DEVELOPMENT REGION TO BE KNOWN AS KALINGA SPECIAL DEVELOPMENT REGION http://www.chanroble[...] 2018-04-14
[20] 뉴스 Chico hydro project opposed http://www.sunstar.c[...] 2018-04-14
[21] 서적 The Philippine Press Under Siege II
[22] 웹사이트 Regional Profil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countrystat.b[...] 2014-09-18
[23] 웹사이트 Th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ati.da.gov.ph[...] 2014-09-18
[24] 웹사이트 R.A. No. 7878: An Act Converting the Sub-Provinces of Kalinga and Apayao into Regular Provinces to be Known as the Province of Kalinga and the Province of Apayao, Amending for the Purpose Republic Act No. 4695 http://www.chanroble[...] 2015-01-04
[25] 웹사이트 Facts & Figures: Apayao Province http://www.nscb.gov.[...] 2015-01-04
[26] 뉴스 Cordillera autonomy – Miriam Coronel Ferrer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015-01-04
[27] 웹사이트 R.A. No. 6766: An Act Providing for an Organic Act for the Cordillera Autonomous Region http://www.lawphil.n[...] Congress of the Philippines 2015-01-04
[28] 웹사이트 Cordillera Autonomy https://www.scribd.c[...] Dona Dee Lacdao 2015-01-04
[29] 웹사이트 R.A. No. 8438: An Act to Establish the Cordillera Autonomous Region http://www.lawphil.n[...] Congress of the Philippines 2015-01-04
[30] 웹사이트 Creation of Cordillera Autonomous Region pushed http://www.albeebeni[...] 2017-07-02
[31] 웹사이트 Mayor Domogan optimistic on OK of Cordillera Autonomous Region bill with P75B investments https://northluzon.p[...] 2017-07-02
[32] 웹사이트 Car | Dof – Bureau of Local Government Finance http://blgf.gov.ph/r[...]
[33] 웹사이트 Dams in the Cordillera http://www.internati[...] 2015-01-04
[34] 웹사이트 Cordillera's Water Resources http://www.cpaphils.[...] 2015-01-04
[35]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36]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2016-03-29
[37]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Cities http://www.nscb.gov.[...] 2016-03-29
[3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3-08-09
[39] 웹사이트 Tingguian http://library.think[...] 2012-01-14
[40] 웹사이트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http://www.ncca.gov.[...] 2015-01-15
[41] 뉴스 Intriguing Patterns in Scolbert08's Map of Religion in Insular Southeast Asia http://www.geocurren[...] 2017-12-06
[42] 웹사이트 Philippine Church National Summary http://philchal.org/[...] 2017-12-06
[43]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4] 문서 2000
[45] 문서 2003
[46] 문서 2006
[47] 문서 2012
[48] 문서 2015
[49] 문서 2018
[50] 문서 2021
[51] 웹사이트 Apayao – Ilocos Norte Road http://build.gov.ph/[...] 2019-08-09
[52] 웹인용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53] 웹인용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https://openstat.psa[...]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1-05-20
[54] 웹인용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3-08-09
[5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6] 문서 2000
[57] 문서 2003
[58] 문서 2006
[59] 문서 2012
[60] 문서 2015
[61] 문서 2018
[62]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